심리검사 종류
검사유형 | 검사명 | 내용 및 특징 |
---|---|---|
성격 및 자기 이해 | 다면적 인성검사(MMPI-2) | 개인의 성격 특성 및 정신병리적 상태를 평가 |
성격검사(PAI) | 성격에 대한 종합평가(자살, 알코올, 약물, 우울, 불안 척도 포함) | |
성격유형검사(MBTI) | 자기보고형 성격 유형 검사로, 사람의 성격을16가지 유형으로 설명 | |
기질 및 성격검사(TCI) | 심리생물학적 인성 모델 기반, 개인의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 | |
성격 강점 검사(CST) | 자신의 대표강점을 구체적으로 인식함으로써자기이해와 자기계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 | |
투사 | 성인 문장완성검사(SCT) | 내담자의 지각, 태도, 성격 특성을알 수 있는 투사 검사 |
벤더-게슈탈트 검사(BGT-Ⅱ) | 시각-운동기능의 성숙도, 지능, 인성 구조, 정서장애, 학습 준비도, 학습장애, 학업성취도의 평가와 예측 | |
주제통각검사 (TAT) | 개인의 욕구, 정서, 콤플렉스, 갈등 및 대인관계와 성격의 역동을 이해 | |
진로 | 홀랜드직업적성검사(Holland®) | 생애관점에서 진로 의사 결정을 위한 직업적 성격 적성을 측정하고 취업을 위한 개별화된 정보제공 |
적응 | 대학적응력검사(CAT) | 대학생의 중도탈락 경향성 및 대학생활적응력 진단 |
한국형 대인관계문제 검사(K-IIP) | 대인관계문제를 종합적으로 평가/진단하고 성격장애군을 선별 | |
학습 | 학습전략 검사(MLST) | 학습 효율성 감소의 원인을 탐색하고, 문제 개입에 대한 기준과 방향 제시 |
자기조절학습 검사(SLT) | 학습장면에서 개인이 보이는 성격적인 특성과 심리적인 상태를 분석 | |
웩슬러 지능검사(K-WAIS-IV) | 개인의 지능 수준과 인지적 잠재력, 신경심리적 특성을 파악 |